리포지토리 관리 필터 예제
이 예제 필터는 리포지토리 관리 API 필드와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합니다. 이 필터 예제는 bot 상태 및 이름을 검색합니다.
이 필터는 "CHECKED_OUT.” 상태를 가지고 있는 파일 이름에서 "finance" 문자열을 사용하여 Control Room 리포지토리에서 bots을 검색합니다.
주: 리포지토리 관리 API는 역할 기반 액세스를 사용합니다. 즉, 사용자는 자신이 액세스할 수 있는 파일과 폴더만 볼 수 있습니다.
{
"sort": [
{
"field": "directory",
"direction": "desc"
},
{
"field": "name",
"direction": "asc"
}
],
"filter": {
"operator": "and",
"operands": [
{
"operator": "substring",
"value": "finance",
"field": "name"
},
{
"operator": "eq",
"value": "CHECKED_OUT",
"field": "botStatus"
}
]
}
}
- 정렬
-
- 필드: 응답을 정렬하는 데 이용되는 필드의 이름.
- 방향: 정렬 순서. 이는 오름차순인 asc 또는 내림차순인 desc일 수 있습니다.
- 필터
-
필터는 연산자, 값 및 필드로 구성됩니다. 필터는 and와 같은 부울 연산자와 함께 사용할 때는 피연산자가 됩니다.
- 피연산자: 부울 연산자를 이용하여 필터에서 결합할 때는 필터를 피연산자로 사용합니다. 이용할 수 있는 부울 연산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.
- or: 조건 중 하나가 충족되어야 합니다.
- and: 모든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.
- 연산자: 11개의 연산자, 즉
NONE, lt, le, eq, ne, ge, gt, substring, and, or, not
이 있습니다. and와 or는 여러 필터를 함께 평가할 때 사용합니다. 다른 연산자는 개별 필터 내의 값을 평가하는 데 사용합니다. 모든 연산자가 모든 필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. - 필드: 필터에서 사용하는 필드의 이름.
- 값: 평가할 필드의 값.
- 피연산자: 부울 연산자를 이용하여 필터에서 결합할 때는 필터를 피연산자로 사용합니다. 이용할 수 있는 부울 연산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.